본문 바로가기

건강 생활정보19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 STSS' 일본 전염병의 증상과 예방법 최근 일본에서 전염병이 돌고 있다는 뉴스가 연신 보도되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악몽에서 이제 막 벗어난 상태인 만큼 모두 민감하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일본의 전염병 '연쇄구균독성쇼크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쇄구균 독성쇼크증후군이란?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STSS)은 A군 연쇄구균에 의해 몸에서 독성 쇼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균이 몸에 침입해서 독소를 분비하고 감염 부위 주변으로 염증을 유발하면서 기관의 기능에 손상을 입히는 질병입니다. 비교적 드문 병이긴 하지만 그 증상은 심각할 수 있고 후유증 또한 남을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이나 피부 상처를 통해 다.. 2024. 3. 22.
대상포진의 증상과 원인, 전염성 여부 알아보기 대상포진은 성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발진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들을 알아보고 대상포진이 생기는 원인, 전염성 여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상포진의 원인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어린 시절에 감염되었던 수두 바이러스가 몸 안에 잠복 상태로 남아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대상포진이라는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피부 발진과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주로 성인들에게 대상포진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수두 백신이 상대적으로 최근에 도입되면서 어린 시절 수두에 걸렸던 사람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기 때문이기도 하고, 성인이 되면서 면역력이 약해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대상포진은 주로 작은 물집으.. 2024. 3. 21.
아데노바이러스 증상과 특징, 얼마나 격리해야할까?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는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명칭인데, 흔히 발열이나 결막염 등을 유발합니다. 감기나 결막염과도 비슷해서 오해되는 경우도 많은데, 오늘은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상과 특징, 그리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전염성은 있는지, 격리기간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상과 특징 아데노바이러스는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로, 주로 호흡기 감염, 결막염, 소화기관 감염을 유발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흡기 감염:아데노바이러스는 비말을 통해 흔히 전염되는데, 특히 밀집되고 닫힌 공간에서 전파가 쉽게 됩니다. 호흡기 감염이 생기면 생기는 증상은 발열, 오한, 열 등이 생길 수 있고 기침이나 재채기,.. 2024. 3. 17.
무좀 초기증상 및 치료법, 자연치유도 가능할까? 무좀은 주로 발에 생기는 질병으로 발이 간지럽고 피부가 벗겨지는 등 불편한 질환입니다. 무좀의 초기증상들에 대해 알아보고, 집에서 자연치유로 치료가 가능한지, 병원에서는 어떤 치료법을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무좀이 생기는 원인 무좀은 곰팡이균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으로 주로 발에 생기지만 손이나 얼굴 등 온몸에 퍼질 수도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보통은 발의 피부에 곰팡이가 번식하면서 발생하고, 발가락 사이부터 발바닥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좀을 발생시키는 곰팡이균은 습기가 많고 따뜻하면 잘 생기고 번식하기 때문에 손이나 발에 땀이 많은 사람들, 양말과 신발을 오래 신고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으로부터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습기가 많은 환경인 수.. 2024. 3. 16.